본문 바로가기
육아지식창고

아기 딸꾹질 원인과 대처 방법

by 공부하는 김여사 2023. 7. 5.
반응형

 

 

 

 

아기 딸꾹질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횡격막 근육이 갑자기 수축되면서 성대가 닫히며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횡격막 근육은 숨을 쉴 때 가슴과 배 사이에 있는 근육으로 신경과 근육의 발달이 미숙한 아기들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더욱 자주 딸꾹질을 합니다.

 

 

 

아기 딸꾹질의 원인
  1. 수유 시 공기 유입 또는 과식을 할 때 - 수유 시 공기를 많이 먹거나 평소보다 많이 먹으면 위가 팽창되어 횡격막을 자극하고 딸꾹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갑작스러운 체온 변화 - 체온조절이 미숙한 아기들은 목욕 후에나 기저귀를 갈 때, 갑자기 추운 곳으로 이동할 때 등에 체온 변화가 일어나면 횡격막이 수축하고 딸꾹질을 할 수 있습니다.
  3. 트림을 하거나 울 때 - 트림을 하거나 울 때 호흡이 바뀌면서 횡격막이 갑자기 수축되고 딸꾹질을 할 수 있습니다. 

 

 

 

아기 딸꾹질의 대처 방법

아기 딸꾹질은 신경과 근육의 발달이 미숙한 신생아들에게 흔한 현상이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딸꾹질이 오래 지속되거나 아기가 불편해 보인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시도해 보세요.

 

수유를 해주세요.

수유를 하면 아기의 목구멍이 자연스럽게 닫히고 딸꾹질을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를 하시는 경우에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기저귀를 갈아주세요.

젖은 기저귀로 인해 체온이 갑자기 떨어지면 횡격막 근육이 수축하면서 딸꾹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저귀를 갈아주고 몸을 따뜻하게 해 주면 체온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따뜻한 물을 먹여주세요.

따뜻한 물을 마시면 몸속도 따뜻해지고 위가 팽창되어 있는 상태를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보리차나 차가운 생수보다는 따뜻한 물이 좋습니다.

 

공갈 젖꼭지를 물려주세요.

공갈 젖꼭지를 물리면 아기가 침을 삼키면서 딸꾹질을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외출할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머리를 따뜻하게 해 주세요.

머리에 모자를 씌우거나 가재수건을 올려두면 머리의 체온을 유지하고 횡격막 근육의 수축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들은 모두 임시적인 해결책이며 아기의 딸꾹질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거나 다른 증상과 함께 나타난다면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 진료가 필요한 경우

딸꾹질이 48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신경계 질환, 심장 질환, 위장관 질환 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사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딸꾹질과 함께 기침, 호흡곤란, 청색증,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폐렴, 심장 결함, 위식도 역류 등의 질환일 수 있으므로 의사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반응형